알로에수딩젤 [368936] · 쪽지

2012-10-02 22:38:38
조회수 507

언어 고득점300제 55번문제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susiapply.orbi.kr/0003097153

처음에 5개 선지를 다 틀리다고 생각하고, 답을 본뒤에도 이해가 안가요

2번이 '여론조사의 신뢰도는 응답자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가 맞다고 나오는데

지문에서 표본수가 2000명을 넘어가면 3000명이든 5000명이든 그렇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나오지 않나요???

그래서 2번을 틀리다고 했는데 왜 맞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테 · 357494 · 12/10/02 22:42 · MS 2010

    ㅠㅠ 지문이랑 문제도 있었으면 저같은 잉여가 보기 좋았을텐데 아쉽네영 아마 다음 분이 해결해 주실거에요 ㅎㅎ

  • નુલુંગ · 324112 · 12/10/02 22:46 · MS 2009

    신뢰구간과 오차범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표본의 수가 늘어날수록 신뢰도는 증가하죠.
    2000명을 넘어가면 신뢰도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은 밀접한 관계가 없다는 뜻은 아니죠.
    표본의 수에 의해 신뢰구간과 오차범위가 결정되기때문에,
    즉 신뢰도가 결정이 되기 때문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봐야 될 것 같네요

  • નુલુંગ · 324112 · 12/10/02 22:53 · MS 2009

    + 조사하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즉 '큰 수'가 될수록 그 평균값이 A의 실제 지지율인 40%에 가까워지게 되는것을 말한다.

    (표본의 수가 커질수록 실제 지지율에 가까워지게 된다)

    이 정도 오차 범위보다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상황은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여론 조사 기관에서는 선거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적정 응답자 수를 2000명 정도로 보고 더 이상의 테스트는 무의미하다고 여긴다.

    (오차 범위보다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상황은 많지 않기 때문에 2000명 정도로 응답자 수 제한 -> 표본 수 많아질수록
    정밀도 증가)

    로 유추 가능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