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esensN [946375] · MS 2020 · 쪽지

2021-03-14 18:28:10
조회수 2,027

[국어] 현장에서 필요한 사고력 활용의 '분배' (공통)

게시글 주소: https://susiapply.orbi.kr/00036683315

안녕하세요, PraesenN입니다.


이번에는 실전현장에서 국어 영역을 대하는 나름의 태도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모든 문제의 모든 선지를 엄밀하고 정확하게 분석하며 


해당 선지의 정오 여부를 판단해야 문제를 명확하게 풀 수 있는 것일까요?


그 방식이 가장 이상적이고 깔끔하겠지만, 변수들이 쏟아져 나오는 실전현장에서는


주어진 시간 80분이 너무나 부족할 것입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독해력, 사고력, 추론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것이 공부지만,


그 용량이 무제한 늘어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실전현장에서는 문제를 풀 수 있는 역량의 한계가 존재하며,


그 당시 문제를 풀면서 역량의 최대치가 커지는 것도 아닙니다.




즉, 당일에 정해진 자신의 역량을 지문과 문제에 분배해야 한다는 뜻인데,


한정된 시간과 문제 유형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문제에 따라 접근 방식과


해결 방식이 달라져야 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예를 들어, 독서 한 세트의 첫 번째 문항은 대부분 서술 방식이나 내용 전개 방식,


그리고 간단한 내용 일치 문항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들은 1번부터 5번까지 모든 선지 하나하나를 끊어 읽어가며


분석하고 그것이 정답 선지인지 오답 선지인지 판단할 필요가 없습니다.


특히 전개 방식을 묻거나 글의 전체 주제를 묻는 문제인 경우에는,


선지들을 빠르게 훑어본 뒤 답이 되는 정답 선지의 근거만 명확하게 찾아도


정답으로 충분히 확신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어려운 내용일치나 두 대상끼리의 공통점, 차이점, 비례 관계 등을 


묻는 문제들은 모든 선지 하나하나의 근거를 정확하게 찾아 분석해야 합니다.


이렇게 풀어도 맞겠지, 하는 '느낌상' 풀이는 있어서도 안 되고, 활용해서도 안 됩니다.





앞서 소개한 간단한 문제들을 풀 때엔느 자신의 독해력과 사고력을 아껴 두었다가,


어려운 문항이 나왔을 때 그 비축해 두었던 능력을 총동원해야 합니다.


완급 조절을 해야 한다고도 이야기할 수 있는데, 각 문제에 동일한 능력치를 


균등하게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별로 차이를 두어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빈틈이 있어도 괜찮은 문제는 실전현장에서 조금은 허술하게 풀어도 괜찮습니다.


반면 엄밀해져야 하는 문제는 정말 꼼꼼하게 선지를 처리해야 풀어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역량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파악한 뒤, 적절히 분배하여 문제들에


접근해야 투자한 만큼의 결실을 온전히 가져갈 수 있게 됩니다!





(읽어보시고 국어 공부에 나름의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와 팔로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출 해설

2112 '북학론' 해설 (독서)

https://orbi.kr/00036596855

2112 '예약' 해설 (독서)

https://orbi.kr/00036502520



칼럼

'포기'하지 않기 위한 '포기' (공통)

https://orbi.kr/00036632085


지문 속 '계단' 구조 찾기 (독서)

https://orbi.kr/00036486283


시간 '견적' 내고 출발하기 (문학)

https://orbi.kr/00036368630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합리적의심 · 949196 · 21/03/14 18:29 · MS 2020

  • PraesensN · 946375 · 21/03/14 18:30 · MS 2020

  • 수학은 누구나 현윽건 · 966752 · 21/03/14 21:24 · MS 2020

  • PraesensN · 946375 · 21/03/14 21:24 · MS 2020

    감사합니다
  • JJONAKLOVE♡♡♡ · 968227 · 21/03/14 22:11 · MS 2020

  • PraesensN · 946375 · 21/03/14 22:17 · MS 2020

  • GIST해리케인 · 763843 · 21/03/15 11:45 · MS 2017

    좋은 말씀입니다

    이미 인지하고 계신 내용일 테지만 학생들을 위해 첨언을 해보자면
    문장 또한 그렇습니다

    빠른 '지문' 독해 속도를 보이는 독자는 문장 단위 속도가 대단히 빠른 게 아닙니다

    각 문장의 난이도와 요구하는 태도를 빠르게 느끼고(시험장에서 모든 문장에 대한 분석은 미친 짓이니까,,,) 이에 맞는 사고력, 딱 그 만큼만 투입해야 합니다

    모든 문장에 반응한답시고 똑같이 100의 사고력을 모두 투입하면 지문을 다 읽기도 전에 지치게 돼요

    30, 70, 45, 20 등 다양하게 사고력 투입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능동적으로 읽어야 해요
    이렇게 원샷 원킬로, 중요하지 않은 문장에 뇌절하지 않고 읽으면 결국 시간은 줄어들게 되는 겁니다

    평가원 지문들을 계속 분석해보며 어떤 문장은 얼만큼의 사고력을 요구하는지,
    평가원만의 성격을 파악합시다

  • PraesensN · 946375 · 21/03/17 00:33 · MS 2020

    맞습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처럼 효율적으로 지문을 읽고 문제를 처리하는 태도가 현장에서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문 속 어떤 정보, 문제의 어떤 선지에 나의 역량을 쏟을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나의 순간적인 감을 믿을 것이 아니라 평상시 평가원 주관 기출을 분석하고 읽어보며 연습하는 과정도 필요할 것입니다.
    글 읽어주시고 또 좋은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