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때 문과생을 바라보며 개빡쳤던 일
일단 전 이과였는데요.
문과를 무시하거나 비방하려는 목적으로 이 글을 작성하는 게 아니라는 점을 먼저 알아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빡친 이유는 문과 학생들 때문이 아니라 교육 과정 편성에 대한 문제 때문이었어요.
고3 1학기 때 이과는 과탐2 과목을 내신으로 공부해야 하잖아요? 근데 솔직히 일반고에서 정시로 서울대 가려고 과탐 2과목 공부하는 학생이 얼마나 있을까요? 수능 최저를 충족해야 하거나 수시와 정시를 모두 고려하고 있는 수험생 입장에서 내신으로 화2, 생2 같은 과목을 공부한다는 것은 엄청나게 비효율적이고 큰 부담감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1과목에 비해 심도 있는 부분을 학습할 수 있어 학문적인 측면에서는 가치가 있을 수 있으나 결국 수험생에게는 학습량만 늘어나는 것에 불과했죠....
근데 문과가 배우는 사탐 과목을 보니... 정말 어이가 없었습니다. 생활과 윤리, 정치와 법, 세계사, 세계지리 중 2과목을 배우던데 생활과 윤리는 모든 문과생이 수강하고 있었습니다.... 생활과 윤리가 사탐 과목 중 선택 비율이 1위인 것을 고려했을 때 생활과 윤리를 수능 과목으로 선택한 학생들이 분명히 많았을 것이고 그렇다면 내신 공부가 곧 수능 공부에 직결되니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지 않았을까요? 정말 너무 불공평하고 화가 나더라구요...이게 끝이 아니에요.
고3 때 사회문제탐구라는 과목을 배웠는데 사회문화, 정치와법과의 연관성이 큰 과목이었어요.
생활과과학이라는 과목은 과학사나 실생활 과학 중심이라서 과탐과 연관성이 깊지도 않았기에 문과생, 이과생 모두에게 공평한 편이었는데.. 사회문제탐구는 그렇지 않았죠. 특히 수행평가가 가관이었는데.. 특정 사례를 읽고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고르고 각 이론의 장단점을 서술하는 수행평가였어요. 근데 사례의 범위가 역대 평가원, 교육청 기출이라는 거예요......저희 학교는 2학년 때 모든 문과 학생들이 사회문화를 선택했고 그렇다면 저 이론들을 대부분의 문과 학생들이 알고 있을 것이며 특히 수능으로 사문을 준비하는 학생들이라면 기출문제를 당연히 풀어봤을 것이기 때문에 저희 이과 학생들이 많이 불리했죠... 저는 다른 과목 공부하기도 바쁜데 저딴 수행평가를 왜 준비해야 하는지.... 정말 많이 빡쳤던 기억이 납니다. 참지 못한 제가 결국 선생님께 너무 불리한 것 같다고 건의를 했고 선생님께서 처음에는 이 과목을 선택한 이상 감수해야 한다고 말씀하시더니 결국 기출에서 추린 사례 15가지를 미리 공지해주시면서 공지해 준 범위에서만 문제가 출제될 거라고 하시더라구요.... 제가 이과 학생들을 대변해서 건의를 한 거였죠.... 이렇게까지 했는데 결국 장점 쓰는 문제에서 이과 학생들 모두가 개같이 멸망했어요....ㅋㅋㅋㅋㅋ 아니 교재에는 분명히 장점, 단점이 없길래 그냥 순기능 비슷해 보이는 내용이 장점인 줄 알고 작성했더니 결국 틀렸어요.. 문과 친구한테 물어보니까 본인은 장점이 뭔지 정확히 알고 있었으며 수특에 장점, 단점이 명시되어 있다고 하더라구요.......결국 사회문제탐구를 1등급 받기는 했지만 다시 생각해도 이 과목에 대해서는 안 좋은 기억이 정말 많습니다...모든 과목을 다 챙겨야 하는 학종러의 고충이란 정말..........ㅠㅠㅠㅠ
제가 수학 선행을 거의 못하고 고등학교에 입학했는데요.(이건 나의 잘못이 큼ㅠㅠ)
문과학생들이 2학년 때 수1, 수2 배울 때 이과는 여기에 기하까지 같이 배워야 했고 3학년 때 문과학생들이 확통만 할 때 이과는 확통에 미적분까지 공부해야 됐어요. 이과라서 당연하다는 걸 알고 있으면서도 수학에 자신이 없었던 전 정말 너무 탈주하고 싶었어요.. 과탐이 좋아서, 과학관련 학과에 가고 싶어서 이과에 온 건데 한번에 수학을 2과목 공부해야 한다는 게 너무 힘들었고 과탐도 갑자기 세 과목을 배우는데 생각보다 킬러문제가 너무 어려웠어요. 진짜 통합과학하고는 비교과 안 되었죠ㅠㅠㅠ
여러분 수학 선행 정말 중요합니다. 고1 되기 전에 최소한 수학1까지는 선행 열심히 하시고 입학하셔야 돼요.... 제 동생은 저와 같은 아픔을 겪지 않도록 꼭 미리 조언해줘야겠네요ㅠㅠ
이거 말고도 정말 억울하고 속상했던 일이 많지만 여기까지만 적도록 하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이야기를 적어봤는데요. 본인이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고 해서 무조건 비난하거나 욕하지는 말아주세요..
공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속보] 백악관 "3월12일부터 한국 등에 25% 철강 관세" 1
미국 백악관은 내달 12일(현지시간)부터 한국, 캐나다, 멕시코 등에서 미국에...
-
육군 0
컷 작년보다 7점높은데 붙는거 확실하겠죠?
-
나 1
추워..
-
카메라 삼각대도 다 맞겠다 ㄹㅇ 20분만에 풀고 이미 간 애 있음
-
옵치나 할까...
-
피시방 가기
-
ㅈㄴ 낯설어서 엉엉 울었어
-
ㅠㅠ
-
봇치 2기 기원 0
-
성적 말고 관상학적 측면에서 .. 연고서성한은 인싸많던데 설대는 다른지 궁금
-
아주의가 눈앞에서 사라져버렸어 하 22번진짜 때려죽이고싶네
-
제발
-
밑부분이 앞으로 튀어나오는데 원래 이런겨?? 자세가 이상한가
-
화학수특샀다 1
일단 오늘 학원알바+회식이라 일단 다풀고 후기는 오늘은 못올리고내일 올릴듯 그리고...
-
수1 수2 미적 다 가져오기 벅차서 미적만 가져옴 이거로 과외 대비 해야지
-
좋은 운과 많은 분들의 도움 덕분에, 한 번에 서울대 경제학과라는 좋은 결과를 얻게...
-
가재맨 재밌네 4
롤 부분만 봄
-
중앙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중앙대25][중앙대학교 내부 장학금]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중앙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중앙대학생, 중앙대...
-
잇올 대기걸어놓긴했는데 이제 새학기되면 금방 빠지려나요?
-
라이브반인데 그 주차 수업 들으면 주는 자료 하루에 어느정도 풀어야하는지 따로...
-
(참고로 조용한 찐따들은 해당이 안됨) 남들은 다들 아는 선을 모름 자기는 그냥...
-
공부 7일차 0
메인 포1 수학 하 6강 루틴 포1 수학 상 백지복습
-
ㅇ
-
서울대 가산받으려고 투과목 한다고 생각하면 다 노베일 때 뭐가 제일 좋음
-
앉아도힘들고 10분걸으면 1시간자야하는 몸이 됩니다 알바하면서 바닥닦으면서...
-
입결차이는 조금씩 있겠지만 대충 현역 - 연고공 // 재수 - 설공,지방한,지방약...
-
하지만 캬루도 포기못해
-
ㅂㅅ 공부하러감 1
이따옴
-
s값 역수로 잘못 구한거 발견한다고 오래걸렸네; 이 시험을 어케 시간 안에 다 품...
-
수능 또봐도 내 대가리로 이 점수를 다시 받을 자신이 없음
-
2기 안나온다는
-
평가원 #~#
-
버튜버중 이세돌은 양지아님? ㅇㅈ?
-
뱃지를숨긴봇치 12
뱃지를먹은봇치
-
알림이 몇개야 1
-
그거 전기나 보관 어떻게 하심?
-
흠
-
내가 있던 부대가 국직부대라 사실상 육군이랑 다름 없고 선후임도 대다수가...
-
육군만큼 힘들게 굴리면 되는거 아님?
-
1학년 통으로 휴학 안되는 학교 (홍대.숙대 같은) 이런데서는 보통 반수 어떤식으로 해야됨?
-
과외 0
주4회 2시간씩 시급3 주고 받고있는데 학기 중에는 이렇게 하는 게 많이 힘들겠지??ㅠㅠ
-
예수금이 있는꼴을 못봄 계좌에 돈이 얼마있든 다 코인이든 주식이든 살려고함
-
국어 저녁에하고 차라리 지금 수학을 할까요? 진짜 너무 안읽힘
-
고려대 뒷풀이 1
뒷풀이에서는 뭐하는건가요? 참가해야되나요?
-
대충내상태 앉아있는것도힘들음
-
숭실 자전 0
예비 18번인데 1차 추합때 빠지려나요??
-
오르비는 재밌다 - 정립 오르비를 하면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 반정립 시간을...
-
일반만통과 이러면 국장 진짜0장임? 시대는 100장인데... 이러면 나 학교 안가고...
-
냥이 레어 2
무혈입성. (누가 김세정 좀 사줘…)
이건 문과생에게 빡쳤던 일이 아니라 입시교육제도에 빡쳤던 일인 것 같네요
그만큼 이과가 입시판에선 더 유리할텐데요 ..
사회문제탐구 절평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