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대가 추구하는 수학 교육방식' vs '대다수 잘못된 수학 교육방식' 비교 분석
우선, 여러 명문대의 입시 설명회를 갖다오고,
여러가지 보고 들으면서,
저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수학교육 방식에 관해서 말씀 드립니다.
1. 유형 익혀 심화 문제 풀고
→ 명문대는 이런 학습 방식을 추구하지 않습니다.
영과고나 자사고의 세부특기사항을 바라보시면, 여러가지 갖가지 탐구활동들로 빼곡합니다.
세부특기사항란을 보면, 대학미적분학의 쌍곡함수를 이용하여, 여러 과학 자연현상 탐구활동에 참고하여
분석 해석한 기록을 써놓기도 하고,
영과고 재학생이나 R&D 연구기록 등을 바라보면, 갖가지 탐구활동을 하면셔, 부수적으로 대학 관련 지식을 찾아보고,
탐구를 수행하며, 관련 내용을 증명하는 과정을 포함시킵니다.
카이스트, 포스텍, GIST, DGIST, UNIST 등의 입시 설명회를 골고루 다녀본 저는 수많은 학생들이
어떻게 학교생활기록부를 써왔는지 볼 수 있었는데요.
정말 빼곡하게, 무수하게 많은 탐구 활동들로 도배가 되어 있었습니다. 자사고 내신 2등급대로 합격한 친구들 꺼를 보니, 학교생활기록부가.....
너무 길어서 다 읽기도 벅찰 정도의 량으로 도배되어 있더라구요.....
그렇게 빼곡하게 쓴 학교생활기록부를 가장 대학측에서 높게 평가하였습니다. 그만큼 해당 학생이 성실할 거라고 판단하셨더라구요. - 자사고 내신 2등급으로 POSTECH 에 진학한 학생의 경우입니다.
자기소개서도 잘 쓴 자기소개서는 없다고 합니다.
글 잘 쓰는 재주를 평가할 생각도 없다고 말씀하시구요.
다만 꼭 필요한 내용은 있다고 합니다.
그러한 필수 내용을 빠뜨린 자기소개서에 한하여 못 쓴 자기 소개서라고 평가하시더라구요.
2. 대외 수상실적과 내신 양쪽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한다.
명문대가 가장 추구하는 것은 대외 수상실적도 있으면서, 내신도 있는 양쪽이 모두 되는 학생이라고 말하십니다.
합격자들은 내신을 공부하면서, 그 공부한 내용에 관련된 심화학습을 추가적으로 찾아서 계속하며, 관련 대회도 출전하는 식으로 양쪽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다고 말하는데요.
제가 바라보았을 때, KAIST 합격자들의 사례를 보면,
내신성적이 아주 뛰어나지 않은 이상은 조금씩 갖가지 대회의 수상실적을 통하여 보완하여 합격하는 것은 사실이었습니다.
만약 영과고에서 내신이 2등급보다 아래라면, 4등급선이라면 국제올림피아드까지 갈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보통은 자사고 2.3등급 정도에서 스마틴 삼성대회 인재상 데크캠? 그런 대회에서 수상한 정도로 KAIST 에 붙기도 하며,
내신 성적이 그보다 아래라면, KMO 2차 동상, 은상에 정보 올림피아드까지 여러대회 수상해도 떨어뜨리는 정도까지로 다양한 것 같습니다.
ㅡㅡㅡㅡㅡ
여기에서 주목한 부분은 수학을 어떻게 공부해야 명문대가 좋아하는가? 입니다.
명문대에서 추구하는 수학 교육 방식은,
대치동 학원이나, 지방의 여러 학원들이 추구하는 유형을 익히고, 심화 문제를 풀 수 있고,
그런 방식이 아니라,
여러 자기주도적인 탐구 활동에서, 대학 수준이든 뭐든 상관없이, 가져와서 엄밀하게 증명하고,
또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의 수학 공부 방식인 것 같습니다.
1. 탐구 활동 내용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증명
2. 탐구 활동에 따른 수학적 분석 능력
1. 의 증명방식의 수학 공부라면, 대학 수학과 전공한 사람들은 모두 이러한 방식을 추구한다고 말씀하시기도 하시고....
실상 유형 익혀 심화 개념....
이런 방식으로는 명문대가 추구하는 방식이 아닌, 일반고에서 내신 잘 따기 위한 방식일 뿐이고,
그러한 일반고에서는 전교 1등~5등 수준이 아니라면, 거의 내신으로 대학 가기 힘든 지경에 이르기도 했습니다.
KMO 는 틀렸다고 말하시나, 내신 망친 학생이라면, 결국 이러한 우수한 대회 성과로 보완해야하므로,
완전히 틀린것은 아니며,
KMO 의 증명 위주의 수학 공부방식은 명문대가 너무나도 추구하는 공부방식입니다.
이것을 탐구학습과 연관지어 여러가지 활동을 생활기록부에 줄지어 쓴다면, 그야말로 명문대가 추구하고 바라던
학습방식에 해당합니다.
실제로 합격한 학생들은,
영과고 미적분학 + KMO 의 배경지식을 융복합 응용해 서술하기도 했더군요....
그렇기에, 엄밀하게 증명하는 위주의 수학 방식,
그 대표적으로 수리논술도 있는데,
일반고 학생으로서 수리논술은 명문대 진학에 필수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것이 명문대가 추구하는 거였더라구요....
참고로 아래는 영과고나 특목고의 재학생 비율을 나타낸 표이랍니다.
여기 있는 학교들은 300 명 이상은 다
특목고 학생들이 진학하는 학교들입니다.
그리고 여러분들이 지방권 의대 지망을 제외한다면,
모두 이 곳의 대학을 가고 싶은 학생들일 거랍니다....
이 학교들이 특목고를 이만큼이나 많이 뽑은 이유 (실상 인원만 따지자면, 특목고 인원의 대다수가 이에 해당합니다.)
생각해 보셨으면 해서 글을 써봤고,
개념 익혀 유형 정리,
이 방식은 대입에 맞지 않는 방식이라는 것을 전달하고도 싶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또한 특기자를 준비하고, 논술을 시험보는 저로서는
이러한 명문대에서 추구하는 방식에 맞추어서, 증명 위주로 공부하려고 깔끔하게
KMO 와 여러 대회들의 증명 위주의 기출문제를 다루고,
여러 대학의 수리논술 기출문제들을 토론하려고 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쪽지로 연락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
-
이거 클까요
-
내가 수능장에서 진짜로 말아먹은거라면? 사실은 1등급 나올 실력이 맞다면? 어쩌면...
-
탐구가 성적 제일낮았음
-
그릭요거트 2
아무것도 안뿌렸는데 맛있네 이거먹으면서 다이어트할까
-
6모에 N수 얼마나침? 9모에 얼마나침? 수능엔 얼마나침? 이거 알아야 탐구 사탐런 예상이돨거같은데
-
옯붕이 부산왔다.jpg 28
캬캬
-
볼만한 웹툰 추천 좀 30
장르 불문 아무거나 다 ㄱㅊ
-
너가 재수도 했으니 뭔 말이라도 하라고 하시는데 쩝... 예비고3 사촌동생은...
-
후다세요? 2
네???
-
개념서 있나요?
-
수학 기출 풀때 0
잘풀리면 뭔가 문제 낭비하는 기분이고 안풀리면 하기싫어짐
-
??
-
하면 되는 건가요? 아마도 2월 중순에 추합으로 붙을 거 같은데 지금 미리 자퇴하는...
-
작년에 솔직히 공부 좀 덜한거 같기는 한데 2에서 올라 갈 수가 없는데,,,, 맨날...
-
반수 고민 0
2024수능(백분위) 국어 83 수학 80 영어2 생1 (84) 지1 (81)...
-
본인특 1
순도 100% 똥글임
-
아으뇌아프다 0
-
지능 끈기 베이스 체력 건강 등등 모두 고려했을 때 1
나는 수험생 50% 수준인듯
-
군수질문 0
군대 시스템을 잘 몰라서.. 수능날에 휴가 낸다고 하면 되는건가요? 일병짬에...
-
첫 풀이 2000덕 드리겠습니다! (+자작 아닙니당)
-
평균 6등급인데 과탐 지1 생1임 생1은 너무 재미없고 힘든데 지1은 할만함 사탐은 그냥 하기 싫음
-
라는 말을 2달전부터 하고있다.
-
고추털 아니라고 문의 보냈는데 지금 연휴냐.??
-
사촌동생 수2 시급 딸기한접시 받아먹고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
스토리 및 게시물 업데이트 안 보기 방금 처음 써봄
-
중앙대 약학대학 신입생 카페 가입 안내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제 41대...
-
지문인식이 안되는데 ㅅㅂ 왜 안되는거야
-
금공강 0
나는 금공강을 원한다 수강신청 제바알
-
그래야 문학론이랑 피램할듯 문학 노베랍시고 기출은 거의 안본것같은데 문학이 급하긴하네
-
촌동네라 좀 널널할 줄 알았는데
-
강k 더프 평가원 수능 통틀어서 말이죠.. 조금 아쉽군요
-
왜 답이 다르게 나올까요..
-
다군 제주수 3
엑셀 계산기 상으로 예비 147번정도 예상나오던데 작년에 20명뽑을때도 123번까지...
-
어제 술처묵고 까뭇노..
-
마지막엔 좀 아팠어요 ㅠ
-
화작은 언제부터 하면댐? 화작 글읽는법 딱히 모르긴하는데 문풀 해야하지 않나
-
생1 현강 질문 0
이 선생님 수업을 안 들으면 문제 풀기 어렵다 하는게 있음? 그냥 누구를 듣든 그...
-
물론 편차 존재하지만 걍 님들 경험으로 말해주샘
-
으…(경멸)
-
그 타이포그랴피마냥 검은바탕에 써잇는 버전인뎅.
-
반수하고싶은데 1
수강신청 어떤식으로 해야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남자 여자 둘다 장난없다
-
지구1 수능 기준 낮3인데 1등급까지 공부량 vs 한지 노베 1등급 공부량 뭐가 더 많을까요?
-
장원영 8
이쁘다
-
신기하네 불콰-하다 「형용사」 얼굴빛이 술기운을 띠거나 혈기가 좋아 불그레하다
-
국어 실모 그냥 8
교육청 고3껄로 보면 되는거 아닌가
-
아 올라갈 수가 없나…. 삼전 팔리면 다시는 주식 안한다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