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93호] 최종점검! 2024 수능대비 6,9평 사회탐구 분석(1)
안녕하세요? PPL 사회탐구팀장 신진호입니다.
드디어 2024 대수능이 코앞에 다가왔습니다. 수능을 앞둔 우리 수험생분들은 착잡함이나 혹은 설렘(?), 기대감, 두려움 등 다양한 감정들의 소용돌이 속 열심히 공부하고 있을 겁니다. 그러나 이 말씀은 꼭 드리고 싶습니다. 여러분들은 모두 원석입니다. 그리고 지금의 이 과정은 원석을 갈고 닦아 나가는 과정입니다. 그러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무사히 수능 잘 치르고 오시길 바랍니다.
아울러 여러분들을 위해 PPL 사탐팀에서는 김과외와 협업으로 ‘2024 Private 파이널 OX N제를 준비했습니다.’ 다음주 수요일(10/18) 이후 [김과외]-[특급자료실]에 들어가시면 N제 문제집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올해의 신경향을 모두 반영한 문제집인 만큼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그러면 수능에 대한 응원과 함께 <2024 평가원 생활과 윤리 & 사회문화 분석 총평> 1편 (사회문화) 드리겠습니다.
<사회 문화> _ 팀원 두혜인
6월 평가원 모의고사는 도표를 제외하고 오답률이 높은 개념 문제가 없어 매우 평이한 난이도로 출제되었습니다. 도표의 경우에도 매우 어려운 킬러 문항은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새롭게 등장한 의미 있는 선지가 없고 기본적인 개념을 전형적인 선지로 구성하여 출제한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기출 문제 학습이 잘 되어있는 학생이라면 체감 난이도가 낮았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오답률 TOP 5 출제요소 분석]
1) #20 인구 관련 통계 분석 : 인구부양비 문항
줄글로 단서를 주고 3개 연도의 노년 인구, 부양 인구, 유소년 인구 비율과 총 인구 수를 구해 표를 그려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기출 문제에서 20번에 출제되는 전형적인 문제의 유형으로 기출 문제의 학습이 잘 되어있다면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선지의 경우에도 새로운 내용 없이 연도별 총 부양비, 노령화 지수, 부양 인구 증가율 등을 구하는 것이 요구되었습니다.
2) #10 성 불평등 양상 분석 : 임금 격차 도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평가 10번과 유사한 유형이나 쉬운 난이도로 출제되었습니다. 기혼 남성을 기준으로 기혼 여성, 미혼 남성, 미혼 여성의 평균 임금을 구하고 이에 따라 표의 수치를 비교 해석하는 것이 요구되었습니다. 불평등 양상을 분석하는 도표 문제에 주로 출제되는 형식과 같이 주어진 식을 활용하여 표를 해석하여 풀이하는 문제였습니다.
3) #15 사회 보장 제도 및 상대적 빈곤율자료 분석 [신유형]
전형적인 사회 보장 제도 문제와 달리 상대적 빈곤율과 사회 보장 제도를 연계하여 문제를 출제하였습니다. 최근 평가원 문제에 주로 출제되던 지역별 인구 수 구하기 문제보다 평이한 난이도를 보였습니다. 총 인구에 따라 비율을 해석하는 것이 요구되었고 가구 수와 가구 인구 수를 구분하는 것이 비교적 생소한 유형이었습니다.
4) #16 사회 변동의 방향을 보는 관점 : 진화론 vs 순환론
진화론에 해당하는 제시문이 주어지고 이에 대한 특징을 고르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새로운 선지는 없었고 기본적인 개념만을 묻는 문제였습니다.
5) #3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 기능론 vs 갈등론vs 상징적 상호 작용론
갈등론과 기능론에 해당하는 제시문이 주어지고 이에 대한 특징을 고르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정답 선지가 사회 불평등 현상을 바라보는 기능론의 관점을 묻는 선지였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한편, 9월은 올해 6월에 비해서는 어려웠으나 작년 수능에 비해서는 쉬운 난이도였습니다. 이번 9월 모의고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도표의 난이도가 많이 어렵지 않고 문제 수가 한 문제 줄었다는 점이 있습니다. 반면 개념 문제의 경우 6월 모의고사에 비해 시간을 다소 소요해야 하는유형의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습니다. 도표 문제의 난이도를 낮추고 개념 문제의 유형을 다소 어렵게 출제하여 난이도 조정을 하려는 경향이 유지되지 않을까 예측해 봅니다. 매우 어려운 개념이 출제된 내용은 없었으나, 다양한 유형의 문제 풀이 연습이 충분히 되어 있지 않은 학생들은 당황할 수 있을법한 문제들이 다수 출제되어 이에 대비할 필요성이 보이는 시험이었습니다.
[오답률 TOP 5 출제요소 분석]
1) #20 인구 구성 자료 분석 (like 계층표비율 찾는 유형)
인구 구성 비율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그 단서를 표와 줄글로 함께 제시함으로써 옛날 기출의 형식을 다시 보였습니다. 최근 3개년 기출 뿐만 아니라 옛날 기출 문제들도 꼼꼼하게 학습하여 다양한 유형의 표 해석 문제에 대비할 필요성이 보입니다.
2) #7 사회 집단, 사회 조직 및 사회화 기관 [시간 오래 끌기 유형]
제시된 갑,을,병이 소속되어 있는 사회 집단의 분류 뿐만 아니라 언급한 사회 집단까지 분류를 요구하는 문제였습니다. 매우 많은 개수의 사회 집단을 분류해야 했던 문제로써 새로운 면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실수를 한 학생들이나 너무 많은 시간을 쓴 학생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 #15 사회 보장 제도의 수급자 분석
남녀 격차 관련 문제가 사라지면서 사회 보장 제도의 수급자분석 문제가 이전 격차 문제의 유형과 유사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어려운 지역별 인구 수 계산 대신 간단한 그래프를 해석하는 문제로 사회 보장 제도 문제를 출제함으로써 난이도를 조절하려는 의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수급자비율과 수급자수를 헷갈리지 않고 문제를 풀이하였다면 많이 어렵지 않은 사회 보장 제도 문제로 체감되었을 것입니다.
4) #6 문화의 속성 이해 : 공유성, 변동성, 축적성, 학습성, 총체성
문화의 5가지 속성에 대해 기본적인 개념을 묻는 문제였으나 서로 다른 사례를 제시하는 인물을 등장시켜 문제 유형에 있어서 실수를 한 학생들이 다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5) #19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 : 기능론 vs 갈등론 vs 상징적 상호 작용론
학생들의 답변을 채점한 것을 보고 A,B,C에 해당하는 관점을 구해야하는 문제 유형이었습니다. 이전 기출에서 다수 출제되었던 유형이지만 학생과 관점의 개수를 늘려 개념을 알더라도 문제 유형에서 어려움을 겪은 학생들이 다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앞으로의 공부 방향성
6월 모의고사는 최근 기출 문제의 경향성을 그대로 반영하여 눈에 띄는 킬러 문제나 새로운 유형이 없이 출제되었습니다. 따라서 기출 문제와 연계 교재를 통한 기본적인 내용의 학습이 꾸준히 필요할 것입니다. 그러나 9월 모의고사에서 새로운 개념이나 난이도가 매우 높은 도표 문제의 출제는 없었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유형의 개념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습니다. 개념 문제의 유형을 복잡하게 출제하여 시간 내에 정확하게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한 시험의 경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옛날 기출을 포함한 다양한 문제 풀이를 통해 새로운 문제 유형에 당황하지 않고 빠르게 개념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칼럼 제작 |Team PPL 사회탐구팀
제작 일자 |2023.10.15.
Team PPL Insatagram |@ppl_premium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칼럼] 문학 Focus 1. 2011 월선헌십육경가 (할 수 있는 것만) 16
제 고전시가 대비 자료에서 뽑아왔습니다.... 앞부분의 설명은 나중에 한번 정리해서...
-
아직 70페이지까지 읽지 못했지만 오타가 너무 많은거 아닙니까? ㅠㅠ 그래도...
-
장수로 456장입니다. (16개년 분량) 기출분석 할 때 일일이 찾기 귀찮아서 합본...
-
(수능국어 4->1) "의외로" 성적 상승에 도움된 것 (1) 75
안녕하세요! 24수능 4등급-> 25수능 1등급 국어핑!!!입니다! (성적인증:...
-
우선 저는 외에 수능 국어 집필이나 경험은 전혀 없으며, LEET는 물론 대학원...
-
[국어] 오이카와가 말아주는 기출문제 - 2006 MD 언어추론 10
비정기 컨텐츠 를 시작합니다. 기본적으로 기출 분석 컨텐츠는 많습니다. 하지만 이...
-
안녕하세요. 차해나 국어 강사(ebs, 강남대성)입니다. 수능특강 관련 녹화를...
-
질문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여러분
-
앞으로 매주 토요일마다 1~2세트씩 올려볼 예정입니다. 지문이 좀 낯설긴 하겠지만...
-
[칼럼] 독서 왜 어려울까? 약간의 국어 교육학 개론을 곁들인 9
국어 점수를 잘 받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잘 푸는 것이죠.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
일반적으로 한 논문의 전체 내용을 한 제시문에 담기가 어렵기 때문에 쓸데없는 정크는...
-
안녕하세요. 에르폴가입니다. 설동안 자작 문항 1개 만들어봤답니다. 너무 쉬운 어휘...
-
정보의 본질에 관하여 20.11 베이즈 주의 “연속적 이항대립과 불연속적 이항대립”...
-
안녕하세요, 수능 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쑥과마늘입니다. 지금이 아니면 써볼 일이...
-
[칼럼] 수능 국어에서 양과 질,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 1
본격적으로 설명하기 앞서 저는 이원준선생님에게 국어를 배웠고 제가 쓴 글과 부분적...
-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 드립니다. 명절은 잘 보내셨는지요. 하하.. 오늘 다룰...
-
안녕하세요 저는 1년간 하무열 공부법(문학 연계 전문 읽기)를 해본 사람입니다....
-
개강 전에 올릴 칼럼 16
수능 독서 칼럼 제목 "경지에 오르면 할 수 있는 생각들" 벽 느껴지는 독서 실전...
-
자, 문제 보시죠. 5번 선지만 확인해 보겠습니다. 다 수필의 내용은 대충, 다...
-
성적 인증 https://orbi.kr/00070673396/ U CAN DO식...
-
[칼럼재업] 문학 Focus 1. 할 수 있는 것만 (2411 화암구곡 겸양) 1
답변해주신 C 오이카와님께 감사드립니다. 방향성 재설정해서 다시 업로드 합니다....
-
지문 자체는 어렵지않으나, 충분히 조심하면서 가져가야할 지문이라고 생각합니다....
-
그레이엄 하먼은 아직 살아있는데 문항 출제 잘못하면 평가원 또 사과해야하는거 아닌지...
-
수특 307페이지에 있는 지문이며, 머릿속 내용을 기반으로 분석하였기에 틀린게...
-
2026 수특 독서 '지각에 대한 김창협의 주장' 심화 분석 6
수특 쭉 분석하다가 이건 조금 더 깊게 들어가볼만한 주제라고 생각해서...
-
[칼럼] 문학 앞에서 볼까 뒤에서 볼까 - 의문편 22
빠르게 보고싶은 분들은 쭉 내려서 25번 보기와 31번 보기를 보며 에서 일반적인...
-
[짧은 칼럼] 수능 문학의 일상언어적 접근 #1 - 2022 수능 고전수필 23번 19
수능 문학은 비문학화되었으며, 일상언어적으로 출제됩니다. 종종 관련 기출문제를...
-
안녕하세요. 한방에 맥잡는 국어 한방국어 조은우입니다. #독서론의 의미 오늘은...
-
출시한지 얼마 안된 26학년도 수능특강 독서, 전부 정리해왔습니다. 일부러...
-
안녕하세요 설댕이입니다. 오늘은 제가 국어 기출을 활용하고 분석했던 방법에 대해...
-
왜 컴퓨터 공학자들은 인문학과 생물학을 강조할까? 14
아마 여러분도 저와 비슷하듯이, 이미 성공한 놈들이니까 배때지가 불러서 저런...
-
과외 준비하다가 생각나는 대로 써본 거라 그냥 '이런 생각도 있구나' 하고 재미로...
-
안녕하세요 설댕이입니다. 저는 현역 광명상가 > 재수 중앙대 > 삼반수 서울대...
-
#논점 1. 인생은 재능의 연속이다. 음악, 재능이죠 게임, 재능이죠 스포츠,...
-
[고1~고3 모의고사 자료 공유] 24년 시행 3월 학평 고1, 고2, 고3 화법과 작문 분석 자료 배포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2024년 시행 3월 학평 고1, 고2, 고3 화법과...
-
수정된 마지막 문단 제시문 일부
-
2026 독서 자작 모의고사 2회 5set 15문항 0
이번 모의는 인문/사회 경향이 짙은 소재를 썼음 막 세트는 예전에 자작한거 재탕...
-
[칼럼] 아무거또의 국어 기출 REF. 5 – 정보의 처리와 글의 이해 1 (2509블록체인) 5
아무거또의 기출 REF. 3 – 정보의 처리와 글의 이해 (2509블록체인) 우리가...
-
여러분, 겨울방학이잖아요.? 수능 D-300은 깨졌지만(..) 남는 시간 뭐할까?...
-
안녕하세요! 어김없이 월요일이 되어 돌아왔습니다 후후.. 오늘 다룰 주제는 '텍스트...
-
인강추천) 24,25수능 국어(언매) 백분위98의 인강추천 및 후기 13
안녕하세요 저는 인강의 도움으로 작수, 작작수 백분위 98을 받았습니다. 수능전엔...
-
무료인강공유) 최연소 수능인강강사 꼴타강사 이상혁 문학인강 OT 0
안녕하세요. 페이커 동명이인 이상혁입니다. 저를 일타강사가 아닌, 꼴타강사라...
-
[자료] 금요기출회(암튼아직금요일임) - 귤은 맛있다 25학년도 6월 인문 1
안녕하세요, 입시림입니다. 저번 시간에 이어, 기출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
-
[짧은 칼럼] 최근 첫문단의 커브틀기는 대체 왜 그럴까? 12
안녕하세요 최근 이런 저런 자료를 올려온 아무거또 입니다.이번에는 조금 가볍게...
-
재업) 간략한 저의 소개를 하자면 현재 재수중이고 작년에 현역이었습니다, 올해 일단...
-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국어 문학에 대해 직접 한장에 싹 다 정리한, 단장화...
-
안녕하세요! 국어영역 24수능 4 -> 25수능 1등급을 받은 국어핑!!! 입니다....
-
가끔 문학 문제를 풀다 보면 진짜 애매한 문제 가 나올 때가 있다. 이런 문제들의...
-
[고1~고3 모의고사 자료 공유] 24년 시행 3월 학평 고1, 고2, 고3 독서 분석 자료 배포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2024년 시행 3월 학평 고1, 고2, 고3 독서...
-
일월 언어연구소입니다. 법학 지문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