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양서고 수학2 중간시험 해설
#1
눈을 똑바로 뜹시다!
#2
다항함수 조건이 주어졌을 때 위와 같이 식을 작성해보는 것은 기본입니다.
때로 저러한 형태의 함수를 생성함수라고도 부릅니다.
작성 후 (가) 조건에서 최고차항 계수, 차수 결정짓고
(나) 조건으로 나머지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이것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 가능한 함수 f(x)의 뜻이며
다항함수는 이를 만족하는 종류의 함수 중 하나입니다.
위의 논리에 따라 함수 f(x)가 x=a에서 미분 가능하다면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인수분해 각이 보이지?
혹은 분모와 분자가 모두 x=1에서 미분 가능하고
0을 함숫값으로 가지는 것을 알기 때문에
각각에 미분계수의 정의를 적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물론 이는 수학2 범위를 지난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준)
미적분 범위의 '합성함수 미분법'을 학습해야 받아들일 수 있기에
생략하겠습니다.
#4
전형적인 문항입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독립 변수가 1개인
1변수함수만을 다루기 때문에 보기 어려운 조건식일 수도 있는데
그래서 우리는 2변수함수처럼 보이는 (가) 조건을
1변수함수로 바라볼 시도를 해볼 수 있습니다.
(나) 조건과 묻는 값에 모두 미분계수가 존재하니
미분계수에 관한 생각을 해보기 위해 도함수의 정의를 떠올려보십시다.
이때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 가능한 함수이므로
f'(x)가 임의의 실수 x에 대해 수렴해야 합니다.
즉, [f(h)+3]/h가 h가 0으로 갈 때 수렴해야 합니다.
따라서 f'(x)을 완전하게 작성할 수가 있습니다.
(f(x)에 대하여)
#5
그래프 그렸으니 이제 y=x+k 움직여봅시다.
이제 ㄱㄴㄷ 하나씩 판단해보시면 됩니다.
연속의 정의는 우극한, 좌극한, 함숫값 존재하고 셋 모두 같다 입니다.
엄밀한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각해보면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준 부등식을 재밌게 다루는 부분이
고등학교 1학년 때 공부하는 수학(상) 부등식 단원이 유일한 것 같은데
이것이 대학교 1학년 때 공부하는 함수의 극한의 엄밀한 정의 (입실론-델타 논법) 로
이어지는 부분이 매력적으로 다가오기도 합니다.
#6
좌표평면에서의 함수 y=f(x)의 그래프와 함수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x에 관한 방정식 f(x)=g(x)의 실근과 같습니다.
두 점 A, B 중 더 왼쪽에 있는 점을 A라고 합시다.
점 A_1과 B_1은 각각 점 A와 B를 y축에 대칭이동한 것이니
y좌표는 같고 x좌표의 부호가 반대일 것입니다.
(대충 A가 A, B가 A_1, C가 B, D가 B_1인 상황)
사각형 ABA_1B_1은 사다리꼴입니다.
따라서 사다리꼴의 넓이 공식 (평행사변형 2개를 이어붙여 절반 구하는) 에 따라
네 점을 지나는 원은 직관적으로 살펴볼 때...
y축에 대칭일 것이므로 원의 중심은 y축 위에 있을 것이고
선분 A_1B의 수직이등분선은 이 원의 중심을 지날 것이므로
(중학도형, 원에서 현의 수직이등분선은 원의 중심을 지난다)
선분 A_1B의 중점 M을 구하고 직선 A_1B의 기울기와 곱해서 -1이 되는
(두 직선 수직 조건, 기울기의 곱이 -1)
기울기 값을 구하여 이 직선이 점 C를 지날 것이라고 설정할 수 있겠습니다.
놀랍게도 원의 중심은 t값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정점이었네요!
이후 원의 반지름을 구하여 넓이를 구해주면
정답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논리 자체가 어렵진 않은데 계산이 복잡했고
따라서 집중해서 실수를 막거나
한 번 실수 한 다음에 빠르게 어디에서 잘못 되었는지를 찾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검토를 잘 하기 위해선 처음 풀이를 작성할 때 논리 정연하고
또박또박 작성해두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7
시험지의 첫 번째 추론 문항입니다.
교과서 혹은 학교에서 다루었던 자료에
직접 연계가 되어있었다면 답만 내고 넘어가면 되지만
그렇지 않았다면 후순위로 미루고 푸는 것이 나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우선 (가) 조건부터 정리해줍시다.
두 가지 이상의 경우가 발생하여
머리를 복잡하게 만들 때는
경우를 분류해주면 됩니다.
하나씩 고려해주면 됩니다, 굳이 한 번에 양자역학적으로
바라보려 하실 필요 없습니다.
먼저 a>0이고 b=2일 때를 살펴보십시다.
대충 이런 느낌으로 그래프가 생깁니다.
앞선 5번 문제와 마찬가지로 k를 열심히 움직여봅시다.
때로 이렇게 한 시험지에
비슷한 사고 과정이 쓰일 때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2022학년도 6월 시험지에서도
미적분 29번과 30번 모두 음함수 미분법으로 접근했을 때
단순 계산으로 답을 낼 수 있었습니다.
k를 움직이다 보니 곡선 f(x) 입장에서는
방정식 f(x)=x+k 가 중근을 가질 때 g(k)값이 변화하고
곡선 |f(x)| 입장에서는 방정식 -f(x)=x+k가 중근을 가질 때나
방정식 f(x)=0의 실근이 방정식 x+k=0의 실근이 될 때
h(k)값이 변화할 것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리해봅시다.
함수 g(k)는 k=-1/4a일 때 불연속입니다.
함수 h(k)는 k=9/4a or k=0 or k=a/2일 때
불연속입니다.
(나) 조건에 따라 k=3일 때 g는 연속이지만 h는 불연속이어야하므로
-1/4a는 3이 아니지만 9/4a나 -a/2는 3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a>0인 경우를 먼저 살펴보고 있으므로
a=3/4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f(1)값은 9+24=33이 됩니다.
이제 a<0이고 b=-2일 때를 살펴봅시다.
대충 다음과 같은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방식으로 접근해봅시다.
k를 적당히 움직이며 직선 y=x+k와
두 곡선의 그래프를 함께 살펴보면...
g(k)는 마찬가지로 f(x)의 그래프에 직선이 접할 때,
h(k)는 |f(x)|의 그래프에 직선이 접하거나
방정식 f(x)=0의 해가 방정식 x+k=0의 해가 될 때
불연속입니다. 정리해봅시다.
g는 k=-9/4a일 때 불연속이고
h는 마찬가지로 k=-9/4a일 때 혹은 k=-2/a일 때 불연속입니다.
k=3일 때 g도 불연속이면 안되므로
a<0일 때에는 k=-2/a이 유일한 후보일 것이고
이때 a=-2/3으로서 a<0 조건을 만족합니다.
따라서 12f(1)값은 33 혹은 -32이므로
최댓값 33과 최솟값 -32를 더하면
정답은 1 되겠습니다.
#8
문제 조건에 따라 f와 g는 최고차항 계수가 1이고
x-1을 인수로 지니는 삼차함수 되겠습니다.
g'(1)도 F(1)도 0이 아니므로 두 삼차함수 f, g의 그래프는
점 (1, 0)을 관통할 것입니다.
제곱인수와 x축에 접하는 다항함수의 그래프 사이 관계는
한완수에서 학습 가능했습니다.
함수가 여러개이므로 단순하게 바라보기 위해서
f, g, h를 모두 표현할 수 있는 F와 G를 중심으로 접근해봅시다.
(나) 조건으로 주어진 항등식의 양변을 미분할 때는
미적분에서 학습할 수 있는 '합성함수 미분법'이 들어오긴 했는데
수학2에서는 아래와 같이 해결할 수 있겠습니다.
이제 (가) 조건의 h'(1)=4를 사용하기 위해
위에서 얻은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해주면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k_1은 5 이하의 정수일 것입니다.
이에 따라 f(2)의 최솟값은 5입니다.
k_1에 다른 제약이 걸려야 f(2)의 최댓값이 존재할텐데,
(나) 조건을 살펴보는 것 외엔 따로 할 만해보이는 것이 없으니
(나) 조건을 다시 한 번 살펴봅시다.
음~ 잘 모르겠습니다.
근데 f(2)는 자연수이고 최솟값이 5인데
최댓값과의 합으로 제시된 선지 중 가장 큰 값이
11입니다.
그럼 대충 f(2)의 최댓값은 6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7을 넘어가는 순간 합이 12가 넘어가기 때문에
선지에 답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단 5번을 찍고 넘어갑니다.
#논술형 1번
1-1) 3번입니다.
부분 극한을 취할 수 없습니다.
함수의 극한의 성질에 따라
사칙연산을 진행할 때에는
각각이 수렴할 때 한 번에 lim를 분배해주어야 합니다.
1-2) 극한이나 어떤 연산을 할 때
덧셈, 뺄셈보다는 곱셈, 나눗셈이 더 도움이 될 때가 있습니다.
#논술형 2번
#논술형 3번
n이 정수이므로 x가 정수일 때의 f(x)값만
조사해보면 되었습니다.
f'(x)>0이므로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합니다.
f(1)f(2)<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따라
구간 (1, 2) 에 방정식 f(x)=0의 실근이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n=1입니다.
#논술형 4번
ㄱ은 평균변화율의 우극한이고
ㄴ은 미분계수이고
ㄷ은 h->0+일 때나 h->0-일 때나
평균변화율의 우극한과 좌극한의 평균이 됩니다.
대칭평균변화율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ㄱ과 ㄷ의 경우 다음과 같은 반례를 떠올려볼 수 있으며
ㄷ의 경우 2022학년도 9월 22번도 비슷한 맥락에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논술형 5번
다항함수 조건은 때로 다음과 같은 생성함수식을 작성함으로써
최고차항의 차수와 계수를 비교하며 풀이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가) 조건부터 살펴봅시다.
전형적인 논리로 f(0), f'(0)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나) 조건을 살펴봅시다.
함수 g가 주인공이라 생각하면 g에 대해 식을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 문항들에서의 논리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순서대로)
- 2017학년도 수능 나형 30번
- 2022학년도 수능 12번
- 2023학년도 수능 22번
- 2024학년도 6월 미적분 28번
대충 아래 글 참고
*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지적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상관없다네..? 나중에 해봐야지
-
아이패드 에어 불편함? 11
친구가 좀 렉 걸리는 느낌이라는데 ㅇㄱㅈㅉㅇㅇ? 에어13고민중이였는데
-
오늘의 초딩겜 0
전기를 쓰기 시작
-
학생이라 직업이 나락이군요 학력은 약대지만 설카포로 뻥친건 비밀。
-
보고 싶던 애니메이션 DVD나 블루레이를 시간 때우기용으로 볼 수 있다는 게...
-
안되겠다 치킨집 연다 35
상호명은 오르비치킨으로 오르비 본사 맞은편 건물 1층에 여는데 알바는 고닉 몇 명...
-
그냥 버스기사가 승객들 대가리 다 후려친다음에 강제로 버스로 끌고가서 운전함
-
확통사탐 12111뜨면 22
어디가나요 설대 ㄱㄴ? 설대 젤 낮과가 컷이 어느정도임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육각덕 테스트 ㅇㅈ 20
-
본인은 군수중인 수포자 확통임 3년전에 고3일때 수학학원 다니다가 던지긴 했는데...
-
세종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세종대 25][맛집]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세종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세종대생, 세종대...
-
연대 상경계열 따로 뽑는거 교수님의 깊은 뜻이 느껴진다 6
경제+통계 복전 대학원을 위한 황금 조합 왜 아는지는 묻지 마세요
-
키가 2cm라서 7
165cm 이하 넣긴 햇는데 이게 맞냐..?
-
알바야 치킨튀겨라
-
“벌통에 여왕벌이 없잖아!”…양봉업자 살해한 70대 검거 2
여왕벌이 없는 벌통을 판매했다는 이유로 양봉업자를 살해하고 유기한 70대가 경찰에...
-
창업비용이랑 치킨집운영이 조스로보이냐
-
231122 수식풀이 18
의외로 그래프논리보다 수식논리가 훨씬 간?결한 문제 시험지 위에 굳이 안적어도 되는...
-
엄마와 아빠의 대학에 나는 약대생으로 들어갈래요 다 뒤졌어요 내년 설날 부모님...
-
궁금해용
-
먼가 취미가 있는게 좋을거같은데 일단 헬스하느라 다른건 생각을 못해봤음..
-
눈 따위 맞으면서 가기
-
아. 5
시발…
-
저도 현생이 있고 현업이 있으니 계속해서 모니터링 하면서 대응하기 어려운게...
-
지금도 그렇지만 앞으로 공돌이는 ai딸깍으로 대체되고 치킨집 차리고 문돌이는 관리직한다는거임
-
나랑 맞지 않음
-
신입생 0
대학 신입생인데 오티나 새터같은건 어떻게 참여하나요 그리고 과잠같은건 어떻게 언제...
-
신입생 0
대학 신입생인데 오티나 새터같은건 어떻게 참여하나요 그리고 과잠같은건 어떻게 언제 사나요
-
육각덕 2
긁네...
-
ㅜㅜㅜㅜ
-
현재 시발점 수1,2 다시 복습겸 돌려보고 있고요 강의 듣기 전에 예습으로 한번...
-
일본어 공부시작
-
바로 F 주는게 맞냐?
-
육.덕 테스트 0
이딴 게 3.6퍼씩이나?
-
치킨집 수익과 개업에 대해서요
-
삼각함수 다 까먹어서 하나도 못알아먹는중 집중이 안되네
-
그치만 자산으로 커버가 된다면 이츠오케이입니다
-
타자 ㅇㅈ 0
https://typing.works/
-
육각덕 이거 부정확항게 13
내가 성격S임 이건 진짜 내 친구가 보면 웃겨서 숨넘어갈듯
-
@graceful_mom_mingle zzzzzzzzzzzzzz 이게 뭐임
-
반박하면 원딜 cs내가 다 먹어야지
-
마이고 재밌나요 4
걸밴크 재밌게봤어요
-
궁금함뇨 그냥 자기 하기 나름인가
-
원래는 2월중에 주요변화평가 판정결과가 나온 뒤에나 좀 더 상황이 확정되고 나서...
-
. 1
.
-
지방 약대 6
지방 약대 합격했는데 재수해서 인서울 약대로 옮길 가치가 있을까요? 진지하게 알려주세요
-
F ㅅㅂ 3
-
성격은 안숨겨지나버네 ㅇ
-
도넛땡긴다..
이게 양서고
예전에 태제대인가 거기간사람임?
네, 현재 태재대학교 혁신기초학부 재학 중입니다!
양서고 친구 국어시험 직전이라길래 시험범위를 봐줬는데
고1인데 수특지문 뭉탱이로 주고 시험내겠다고 한거에서 충격먹음...
자습 시간도 그렇고 쉽지 않은 것 같더라고요... 괜히 대학 잘 보내는 고등학교 중 하나인 것이 아닌 듯합니다
문제도 궁금하네요 ㅋㅋㅋㅋㅋ
공유 하고 싶지만 안됩니다 ㅋㅋㅋㅋ